티스토리

JungwonLab
검색하기

블로그 홈

JungwonLab

nuvon.kr/m

대학원에 필요한 이모저모

구독자
1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냉장고가 음식을 식히는 원리 냉장고가 음식을 식히는 원리를 알고 계시다면 음식물을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어요. 냉장고 내부 온도와 습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각종 음식을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어요. 식품을 신선하게 유지하는 비밀까지 알려드릴게요. 더위에 지치지 말고, 냉장고를 올바르게 활용하여 신선한 음식을 맛있게 즐겨보아요. 음식을 식히는 과정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냉장고가 음식을 식히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냉장고는 우리가 생활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죠. 그런데 냉장고가 음식을 식히는 과정은 정말 신기하답니다! 함께 알아보면서 냉장고 속에서 일어나는 마법 같은 일들을 한 번 살펴볼까요? 냉장고 안의 온도 우선, 냉장고 안은 온도가 낮아요. 보통 0도에서 4도 사이로 설정되어 있.. 공감수 3 댓글수 1 2024. 3. 20.
  • 열전달의 기본: 왜 겨울에는 담요가 필요한가 한 겨울 밤, 따뜻한 이불 속에서 편안하게 누워서 담요의 따뜻함을 느끼는 순간. 겨울에 담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궁금했던 적이 있으신가요? 열전달의 기본을 이해한다면, 겨울에 담요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겨울에 열이 왜 그토록 필요한지, 담요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올바른 담요를 선택하는 팁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따뜻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필수 요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함께 편안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지식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한 겨울 밤, 따뜻한 이불 속에서 편안하게 누워서 담요의 따뜻함을 느끼는 순간. 겨울에 담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궁금했던 적이 있으신가요? 열전달의 기본을 이해한다면, 겨울에 담요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겨울에 열이 왜 그토록 필요한지, 담요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5.
  • 온도 측정방식 총정리 | 바이메탈 열전대 서모파일 RTD NTC PTC IC센서 안녕하세요. 오늘날 기술진보에 따라 많은 온도 측정에 대한 방식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온도 측정방식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측정 방식은 샘플이 가지고 있는 크기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지며, 열전도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과 열확산율과 비열, 밀도 등을 추가로 측정하여 열전도도를 계산하는 방식 등이 존재합니다. 온도센서의 종류 사용 온도 범위 열팽창 바이메탈 열기전력 열전대 -200~1600℃ 서모파일 -40~100℃ 전기저항변화 RTD(Pt) -200~850℃ NTC -50~300℃ PTC (BaTiO3)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1. 17.
  • 열전성능지수 zT 계산기 |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열전성능지수 계산기 |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제벡 계수 (seebeck coef, S, μV/K): 전기 전도도 (electrical condcutivity, σ, S/cm): 열 전도도 (thermal conductivity, κ, W/(m·K)): 온도 (Temperature, K): zT 계산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결과: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1. 21.
  • 헷갈리는 열 개념 제대로 공부하기 (2) | 열전도도 측정 이번 포스팅에선 열의 개념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열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정적인 상황을 다루는 열역학, 동적인 상황을 다루는 열전도,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열적 측정방식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열전도도 측정 방식 열(Heat)이란 물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에너지입니다. 이러한 열은 단순히 에너지의 형태가 아닌 에너지의 전달 형태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이러한 열의 이동 방법에는 열전도, 열대류, 열복사의 3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열역학에서는 두 평형 상태 사이의 에너지 변화량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힘의 평형, 화학적 평형, 열적 평형을 모두 포함하며 정적인 상황을 다룬다고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열 전달(Heat Transfer), q[W] [J/s] 온..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1. 16.
  • 헷갈리는 열 개념 제대로 공부하기 (1) | 열전도도 열역학 이번 포스팅에선 열의 개념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열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정적인 상황을 다루는 열역학, 동적인 상황을 다루는 열전도,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열적 측정방식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열역학 개념잡기 열전도 개념잡기 열(Heat)이란 물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에너지입니다. 이러한 열은 단순히 에너지의 형태가 아닌 에너지의 전달 형태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이러한 열의 이동 방법에는 열전도, 열대류, 열복사의 3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열역학에서는 두 평형 상태 사이의 에너지 변화량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힘의 평형, 화학적 평형, 열적 평형을 모두 포함하며 정적인 상황을 다룬다고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열역학 제 0법칙(열평형의 법칙) : 어떤 계의.. 공감수 56 댓글수 56 2023. 11. 16.
  • CNT 라만 분석 G peak D peak 의미 - 라만 Stokes, Anti-stokes 효과와 그래프 분석 이전 포스팅에서 라만의 레일리 산란과 라만 산란의 Stokes, Anti-stokes 효과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Stokes, Anti-Stokes 효과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그래프 분석을 예를 들어서 설명해볼게요! 1. Stokes, Anti-stokes 효과 2. CNT의 라만 분석 1. Stokes, Anti-stokes 효과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대부분의 분자는 진동 바닥 상태에 있기 때문에 분자는 외부의 에너지를 얻어 진동 흥분 상태가 될 확률이 많습니다. 즉 Stokes 효과가 Anti-Stokes 보다 강도가 강해 일반적으로 Stokes 산란만 관찰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기 바랍니다. 레일리 산란의 강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걸 확인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Stokes, A.. 공감수 3 댓글수 0 2022. 10. 12.
  • 라만 분석(Raman Analysis) - 라만 산란 양자역학 포논 Phonon Rayleigh scattering Stokes 효과 Anti-stokes 효과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라만 분석(Raman Analysis)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라만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를 알아보고 이해를 돕기 위해 양자역학적으로도 접근해 보겠습니다. 1. 라만의 원리 2. 양자학적 이해 1. 라만의 원리 라만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라만 산란부터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라만 산란이란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산란 현상입니다. 분자마다 고유한 진동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고 라만 분석은 이러한 분자의 진동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활용합니다. 빛이 어떤 매질을 통과할 때 산란된 빛은 빛의 원래 방향에서 이탈해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이때 산란된 빛의 E(Energy)는 1. 산란된 빛의 E = 원래의 E 2. 산란된 빛의 E > 원래의 E 3. 산란된 빛의 E 원래의 E :.. 공감수 6 댓글수 1 2022. 10. 5.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MOSFET 안녕하세요. 저번 8장 포스팅에서 트랜지스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트랜지스터에는 크게 BJT와 FET가 있고 또 여기서 FET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FET 중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OS, MOSFET 구조 MOS 동작상태 MOSFET 동작 1. MOS, MOSFET 구조 MOSFET은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의 약자로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라는 뜻입니다. 그 뜻대로 MOSFET은 MOS구조를 통해 전계를 생성하여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입니다. MOS 구조 MOS는 금속-산화막-반도체가 순서대로 접합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M.. 공감수 3 댓글수 1 2022. 8. 22.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트랜지스터 안녕하세요. 저번 6장, 7장 포스팅에서 반도체의 기본적인 접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접합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중 다이오드와 함께 반도체소자를 대표하는 트랜지스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랜지스터란? 접합형 트랜지스터 (BJ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 1. 트랜지스터란? 트랜지스터는 세 개 이상의 전극을 가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반도체 물질(Si, Ge 등)으로 제작되어 증폭과 연산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전극이 세 개가 달려 있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성능의 작업에 유용합니다. 현대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cpu, gpu, 메모리 등을 제작합니다. 여러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논리 게이트(AND, NAND, O..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8. 22.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LED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대 사회의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중 하나인 발광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광 다이오드란? 2. 직접천이, 간접천이 3. 재결합 (recombination) 4. 빛의 방출 원리 5. 양자우물 (Quantum well) 6. 청색 발광 다이오드 (Blue LED) 7. O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1. 발광 다이오드란? 토머스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한 이래로 인류는 언제나, 어디에서 빛을 활용하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구의 명확한 단점 때문에 전구의 대체재를 찾아야 했습니다. 그 전구의 대체재가 바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라고 하는 것입니다. 전구에 비해 작고, 가볍고, 빛의 효율이 좋은 발광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22.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MS 접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접합 중 금속과 결합시키는 접합인 MS 접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MS 접합이란? 2. 쇼트키 접촉 (Schottky contact) 3. 저항 접촉 (Ohmic contact) 4. Carrier Conduction Mechanism 1. MS 접합이란? 금속-반도체 접합은 대표적인 반도체의 이종 접합 중 하나입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살펴본 PN 접합과 달리 MS 접합은 금속과 반도체의 서로 다른 재료를 가지고 접합한 경우입니다. MOSFET과 같은 트랜지스터에서 전극의 역할은 아주 중요합니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전극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금속과 반도체의 성질이 서로 달라 금속과 반도체의 접합 시 ..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8. 19.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PN 접합과 다이오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N 접합과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N 접합은 반도체의 접합 중 기본적인 형태의 접합으로 P-type 반도체와 N-type 반도체를 접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다른 특성을 가진 반도체를 접합함으로써 어떠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이오드란? 2. PN 접합의 구조 3. 인가 바이어스 4. 항복 현상 1. 다이오드란?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계된 소자입니다. 초기 다이오드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반도체로 다이오드를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정류기(rectifier)라고 불리는 반도체 다이오드는 p-type과 n.. 공감수 1 댓글수 4 2022. 8. 19.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반도체의 도핑(doping)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불순물을 첨가하는 도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반도체 캐리어 2. 열평형 상태의 캐리어 3. 진성 반도체 4. 도핑과 도펀트 5. 외인성 반도체 6. 외인성 반도체의 페르미 준위 7. 축퇴 반도체 1. 반도체 캐리어 캐리어란, 반도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하를 운반하는 것을 말합니다. 캐리어의 종류는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있습니다. 전자는 많이들 아시는 대로 (-)전하를 가진 캐리어이고, 정공은 전자가 빠져나간 빈 공간을 의미합니다. 정공은 그 의미대로 공간이기 때문에 이동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마치 공간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캐리어라고 하는 것입니.. 공감수 1 댓글수 1 2022. 8. 19.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페르미 에너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입자의 거동을 알아보는 통계적 방법 중 하나인 페르미-디랙 확률함수와 그에 따른 페르미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는 전자와 정공 같은 캐리어를 통해 전류를 조절하고 작동합니다. 따라서 전자와 정공의 상태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페르미 에너지는 캐리어의 분포와 특성을 알기 위해서 쓰이는 개념입니다. 1. 페르미-디랙(Fermi-Dirac) 확률함수 2. 페르미 에너지 1. 페르미-디랙(Fermi-Dirac) 확률함수 이 세계에 존재하는 입자들은 그 수가 너무 많아 입자 각각의 거동보다 많은 수의 입자 집단의 거동을 취급합니다. 그 입자 집단의 거동은 확률함수로 표현이 되고 이 확률함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분포법칙을 따릅니다. 첫째, 맥스웰-볼츠만..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19.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에너지 밴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 에너지 밴드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물질은 에너지 밴드라는 띠를 가지게 됩니다. 물질은 각자의 에너지 밴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이 에너지밴드의 폭과 간격을 조절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반도체의 성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밴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 에너지 밴드의 형성 2. 가전자대, 전도대, 밴드갭 3. 금속, 절연체, 반도체 1. 에너지 밴드의 형성 저번에 다룬 양자역학의 기본적인 핵심 중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해 전자의 에너지가 양자화되어 있어 불연속적인 값을 가진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원자핵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존재하는 전자의 확률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이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전자가 .. 공감수 1 댓글수 3 2022. 8. 19.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슈뢰딩거 파동 방정식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양자역학에서 핵심이 되는 내용인 파동 방정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이란? 2. 시간 무관 방정식 3. 시간 의존 방정식 4. 규격화 1. 슈뢰딩거 파동 방정식이란? 파동 방정식은 말 그대로 파동의 움직임에 대해 기술한 방정식입니다. 파동방정식은 음파, 전자기파 등 일상적인 측면에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물질의 움직임과 특성을 분석하는데 파동방정식은 아주 편리한 방법 중 하나이죠. 그러나 거시 세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고전적인 파동 방정식으로는 미시 세계인 입자의 움직임을 기술하지 못합니다. 이에 따라 파동 방정식의 양자론적 수정이 불가피해지고 1926년 에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 1887~1961)에 의해 새로운 파동 방정식.. 공감수 4 댓글수 0 2022. 8. 18.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양자역학 입문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몇 가지 이론 중 양자역학에 대한 이론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접하신 분들은 다소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겠으나 반도체에서 가장 기초적인 내용인 만큼 반드시 짚고 갈 필요가 있는 이론입니다. 1. 반도체와 양자역학 2. 에너지의 양자화 (principle of energy quanta) 3.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 (wave-particle duality principle) 4. 불확정성 원리 (uncertainty principle) 5. 파울리 배타 원리 (Pauli exclusion principle) 1. 반도체와 양자역학 양자역학은 원자단위의 미시세계의 현상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주로 전자와 양자, 원자 등.. 공감수 3 댓글수 0 2022. 8. 18.
  •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반도체란? 시리즈들을 통해서 재학중에 배우면서 공부하던 반도체(Semiconductor)에 대해 정리도 해보고 소개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조금 어려운 내용이 있을 수 있지만 상식? 선에서 가볍게 봐주시면 흥미로울 수도? 있습니다.. ㅎㅎ 1. 소개 2. 반도체의 발명 3. 반도체 소자 1. 소개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시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에는 무수히 많은 부품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RAM과 CPU 등을 포함해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LED까지 모든 곳에 반도체가 숨어져 있죠. 이 뿐만이 아닙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넘어 우리 주변에는 반도체가 적용되어 있는 곳이 알게 모르게 정말 많습니다. 그만큼 반도체는 현재 첨단산업에서 가장 핵심적인 물질 중 하나로써 없어서는 안 될 물질이죠. 전기가 발견된 이래로 전자공학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18.
  • 수소(Hydrogen) 경제 왜 하는 걸까요? 조금 알아 볼까요?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는 수소(Hydrogen)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수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활용까지 차근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1. 소개 2. 수소의 전 과정 1. 소개 수소(Hydrogen)는 가장 풍부하고 가벼운 원소로써 정유에서부터 석유화학, 철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다른 연료보다 에너지 효율이 훨씬 뛰어난 에너지원입니다. 수소는 공기 중에서 연소 시 극소량의 질소산화물을 제외하고는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고 직접 연소용,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써 사용이 간편합니다. 또한, 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다시 물로 재순환이 가능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지구 온난화 문제가 대두되는 현시점에서 미래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정 에너지원으로..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6. 9.
  • 탄소나노튜브의 응용분야에 대해서.. 지난 시간에는 탄소나노튜브(CNT)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탄소나노튜브의 응용분야에 대해 알아보고 실생활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1. 스포츠 용품에서의 응용 2. 항공분야에서의 응용 3. 우주분야에서의 응용 1. 스포츠 용품에서의 응용 탄소나노튜브는 인장강도가 강철의 100배이고 전기전도도는 구리와 비슷하며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납니다. 또한 초저온에서도 전기 손실이 없는 초전도 성질까지 가지고 있어 이러한 뛰어난 물리화학적 성질 때문에 탄소나노튜브는 다양한 분야에서 꿈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어떠한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우리 일상생활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제품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골프채, .. 공감수 1 댓글수 2 2022. 4. 29.
  •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에 대하여 대학 교과과정 중 기기분석이라는 과목을 배웠던 학생들은 광학현미경이 아닌 전자현미경이 있다는 것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학생 수준으로 여러가지 전자현미경 중 주사전자현미경(SEM)의 원리를 살펴보고 기초적인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1.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차이 2.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 1.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차이 기본적인 현미경은 맨눈으로 보기 힘든 작은 물체를 확대하는 관찰 기구입니다. 현미경은 크게 2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광학현미경, 전자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전자현미경 이렇게 2가지입니다. 우선 광학현미경이 물체의 상을 확대하는 원리는 초점거리가 짧은 대물렌즈를 물체 가까이 둬서 ..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4. 15.
  • CNT.. 너는 도대체 뭐니?? (대학생 버전) 공부를 하시다가, 또 연구하시다가 탄소 나노튜브라는 것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는데요. 지극히 학생의 관점에서! 쉽게 풀어쓴 글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한번 써 보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서 탄소나노튜브를 쉽게 이해해 봅시다. 1. 탄소 나노튜브..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2. CNT 분류법 (층 vs 구조) 1. 탄소나노튜브..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이공계열에서 오래전부터 자주 들려왔던 단어가 있는데요. 바로 탄소 나노튜브(Carbon입니다. 우리가 보통 탄소라고 한다면 연필에 쓰이는 흑연, 보석으로 쓰이는 다이아몬드 등이 있는데요, 이것들은 모두 탄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입니다. 탄소나노튜브도 마찬가지인 것이죠! 현..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3. 29.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신재생 에너지 - 열전 발전(Thermoelectric) 열전(Thermoelectric)은 작은 온도 차이에서도 전기를 발전시킬 수 있는 소재/소자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제가 연구하고 있는 열전이 어떤 것이고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적합한지 간략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열 에너지란? 우선적으로는 열? 온도 차이? 가 에너지가 될 수 있다는 것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주전자에 끓여지고 있는 물은 열을 가해져서 물이 수증기가 되고 주전자의 뚜껑을 들썩들썩하게 하는 운동 에너지로 바뀌게 되는 것을 간단하게나마 알 수 있습니다. 열을 활용하여 액체가 수증기로 바뀌면서 부피가 늘어나면서 생기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발전소에 있는 터빈과, 자동차에 있는 엔진을 볼 수 있습니다. 열이라는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꿨다가 다시 전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2. 15.
  • 혼성 오비탈이란? (What is hybrid orbital?) 나노재료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오비탈과 혼성 오비탈의 개념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번 글에서는 혼성 오비탈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저번 글(오비탈이란? (Orbital))에 오비탈은 전자가 존재하는 확률적인 공간이라고 하였는데 부양자수에 따른 s, p, d 등 다른 모양의 오비탈이 나온다고 하였습니다. 이전 글인 오비탈이란? (Orbital)에서 밑에 그림과 같이 설명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항상 이러한 모양으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s와 p를 생각해보았을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어 서로 간섭을 하여 오비탈의 모양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구처럼 생긴 s오비탈과 아령 모양의 p오비탈이 서로 간섭하여 기형적인 오비탈의 모습을 가지게 됩니다. 이때 에너지 준위는 p오.. 공감수 6 댓글수 0 2021. 11. 22.
  • 오비탈이란? (Orbital) 여러분 혹시 플립북을 아시나요? 여러 장의 그림을 이어지게 그려서 연속적으로 보여줌으로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의 일종입니다. 플립북은 사실 연속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불연속적인 움직임이죠 예를 들어 1,2,3,4,5 숫자를 보았을 때 연속적 나열이지만 1과 2사이에는 1.1, 1.111, 1.111111111…등 무한히 많은 수가 존재해서 사실 불연속적인 것과 같은 이치죠. 이게 에너지에서도 마찬가지인거 아셨나요? 에너지들은 불연속적인 값을 가집니다. 이를 주양자수(n)이라고하며 1,2,3 등 정수의 값을 가집니다. 주양자수에 커질수록 전자가 이동할수있는 범위(오비탈의 크기)가 커지며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집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특정 에너지 값도 바뀌게 되지요. 이에 따른 증거로는..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9. 23.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